학원을 다니기로 하면서부터 프로젝트에 대해 마음의 준비를 했다 사실 마음의 준비라기보단 지레 겁먹기라고 하는 게 좀 더 정확하지만? 우리 학원은 총 세 번의 프로젝트 경험을 갖는다 그 중 첫 번째 프로젝트인 만두네 프로젝트. 그에 대한 기록을 기억이 나는 대로(ㅋㅋ) 남겨보려고 한다.
🧠 브레인스토밍 하기
첫 프로젝트는 콘솔 프로그래밍으로 진행한다. Java와 Database를 연결한 간소한 프로젝트.
보통 예약시스템을 많이 하는 것 같아서 어떻게 굴러가는지를 생각하고 여러가지 아이디어를 뽑아냈다.
- PC방: 첫 주제였는데 너무 간소하고 시간에 대한 계산이 어려워 시연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무산
- 시험접수시스템: 너무 간소하지고 않고 과하게 복잡하지도 않았다고 생각했음,, 모델링도 나름(?) 수월했다
- 자판기: 너무 쉬움..
그래서 결국 시험접수시스템으로 땅땅했다. 아이디어 잡는데만 하루이틀 걸렸던 듯? 그래도 우린 다른 조보다 일찍 얘기를 하기로 했어서 시간은 좀 더 있었다
👩👧👦 온갖 곳에 팀스페이스 만들기
1. 노션 팀스페이스 만들기
먼저 회의를 기록하고 공통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업로드해두기 위해 노션 팀스페이스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내 계정으로 페이지를 만들고 해당 페이지에 다른사람 이메일을 입력해 추가해서 만들었는데 이러면 내 소유가 돼서 팀원들이 필요할 때 못 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서 팀스페이스로 바꿨다.
노션 팀스페이스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 있지롱
노션에 팀스페이스 생성하기
노션에 협업하고 넘나 편안해서 쓰게 된 글 노션이 워낙 친절해서 내가 쓸 필요 없지만 그래도 기록용으로 남겨두려구 응응.. 일단 로그인을 하고 사이드바에서 팀스페이스 생성 클릭 팀이름을
imgonnabedeveloper.tistory.com
2. 깃허브 조직 생성하기
서로의 원활한(?) 소스코드 공유를 위해 깃허브 조직도 생성했다 이것도 노션과 마찬가지로 처음엔 내가 리포지토리를 따로 만들어놓고 팀원들을 초대하는 식으로 했는데 노션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조직으로 바꿨다
깃허브 조직을 생성하는 방법도 아래 링크에 있삼~~
GitHub에 조직(organization) 생성하기
협업을 위해 필요한 깃허브 깃허브에 조직을 생성하고 팀원을 초대해보자! 페이지 오른쪽 위에 자기 프로필 사진 누르면 뜨는 메뉴에서 Settings 선택 페이지 왼편에 있는 Organizations 클릭 클릭한
imgonnabedeveloper.tistory.com
3. ERDCloud
학원에서 ERD를 디자인할 때 ER-WIN을 사용한다 그치만 맥유저인 나는 어윈 사용이 불가넝하기 때문에 erdcloud에서 모델링 작업을 하기로 했다. 기왕 팀작업하기로 한 거 이거까지 팀스페이스를 생성하고 초대하기로 함
처음에 팀이 정해질 때 우리팀만 세명이 돼버려서 그만
팀이름을 이렇게 지었다 기엽죠?
이 기세를 몰아
온갖 만두 총동원함ㅋㅋㅋㅋㅋㅋㅋㅋ 울팀 넘 기엽다..
암튼 이렇게 해서 팀스페이스 만들고 작업했다.
4. 이거까지 해야되나 싶지만 공통 구글 계정까지 만듦;;
visual paradigm이용해서 클래스 다이어그램 만들다가 이건 팀으로 못하길래 그냥 공통 계정 가지고 작업하자고 구글계정까지 만들었다 동시작업 가능해져서 좋았음
준비에 준비에 준비는 여기서 마침 다음 글은 설계로 넘어가겠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