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T
KDT 25주차 회고(230817~230823)
모팔구
2023. 8. 23. 14:18
728x90
반응형
🎯 목표
💡 나는 최고의 프로그래머당!
🖋️ 수업 내용
※ 요약 주의
📆 230817~230818
- 🌸Spring
- 수업 열심히 들음
📆 230821
- 웹소켓
- origin: 프로토콜 + 도메인 + 포트번호. 셋 중 하나라도 다르면 다른 오리진이다.
ex) http://localhost:80 과 https://localhost:80은 다름- origin의 기본 정책은 Same-Origin Policy.
- ajax에서 크로스 오리진을 요청하면 막혀있는데 ajax는 요청의 응답결과를 변수에 받기 때문에 맘대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
- servlet-context.xml: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기 위한 컨텍스트 설정으로, 요청에 관한 객체를 정의한다
- 웹소켓은 Node.js로 다룸 자바는 일괄 처리 배치에 유리한 언어이기 때문에 자바보단 자바스크립트 사용을 고민해봐야함
- 서버에서 메시지를 보내면 onMessage 이벤트가 발생하고 메시지를 보낼 때에는 sendMessage를 호출한다
- ⭐️ObjectMapper로 json 객체를 java 객체로, java 객체를 json 객체로 변환할 줄 알아야함
- origin: 프로토콜 + 도메인 + 포트번호. 셋 중 하나라도 다르면 다른 오리진이다.
📆 230822
- 크로스 오리진을 하려면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컨트롤러를 작성한다 org.apache.hc.client5.http.fluent.Request 클래스를 사용해 데이터를 불러오고 ajax로 해당 컨트롤러의 url에 요청해 데이터를 읽어온다
- 프로젝트를 할 때 서버쪽 테스트를 완료한 후 클라이언트 측 개발을 시작한다 서버 구현이 완료되면 이후 발생하는 에러는 클라이언트 측 에러여야만 함 -> 부메랑 사용
📆 230823
- button 태그가 form 태그 안에 있다면 기본 type이 submit이 된다
- jar: java archive, war: web archive
💭 기록
반응형
728x90
반응형